김홍도 필 서원아집도 병풍. 사진 문화재청

문화재청은 조선 후기 대표화가 단원(檀園) 김홍도(1745∼?)의 예술세계를 보여주는 ‘김홍도 필 서원아집도 병풍’과 승려장인 정우의 ‘남원 대복사 동종’을 보물로 지정했다고 25일 밝혔다.

‘김홍도 필 서원아집도 병풍’은 김홍도가 1778년에 그린 작품이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서원아집(西園雅集)은 역사상 특정 인물과 관련된 일화들을 주제로 그린 그림이다. 고사인물도의 주제 중 하나다. 문인들이 차, 서화, 시 등을 나누는 모습을 담고 있다.

'김홍도 필 서원아집도 병풍' 부분.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총 6폭으로 된 김홍도의 이 작품은 17세기 중국 명나라 구영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조선의 서원아집도로 재탄생됐다. 김홍도의 창조성과 독특한 회화 기법이 돋보인다. 배경 버드나무를 비롯해 암벽, 소나무 등을 과감한 필치로 그려 공간에 생동감을 불어넣었다. 길상적 의미를 지닌 사슴과 학도 있다.

이 작품 5~6폭 상단에 14행으로 김홍도의 스승인 강세황의 그림제작배경과 ‘신필(神筆)’이라고 칭송한 감상평이 적혀 있다.

문화재청은 “조선 후기에 성행한 문인들의 아회(雅會, 모임) 문화를 대표하고, 김홍도의 34세 화풍을 살필 수 있는 기년작(제작연대를 알 수 있는 기록이 있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회화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설명했다.

남원 대복사 동종. 사진 문화재청

전북 남원 대복사의 동종은 승려장인 정우와 신원 등 7명이 1635년에 함께 제작한 작품이다.

처음 영원사에 봉안하기 위해 제작되었다가 영원사가 폐사된 이후 현재의 봉안 사찰인 남원 대복사로 이안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우와 신원은 17세기 전반에 재건 불사가 진행되는 경기·충청·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을 펼친 승려 주종장(鑄鍾匠)이다.

이 작품은 고려시대 동종의 양식을 계승하면서도 조선 후기의 시대적 특징을 담고 있어, 한국의 공예사적 가치를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로 평가된다.

한편 문화재청은 이번 선정된 두 작품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해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소유자 등과 협조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 기사는 구글 클라우드의 생성 AI를 기반으로 중앙일보가 만든 AI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작성했습니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