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 앞에서 행복하고 여유롭다는 피아니스트 김선욱. 2년 만의 한국 독주회를 다음 달 시작한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피아니스트 김선욱(36)은 “어제 피아노 연습을 8시간 하고 왔다”며 의자에 털썩 앉았다. 다음 달 5일 시작하는 독주회를 위한 연습이다. “어제는 지휘 리허설이 없었거든요. 오랜만에 내 손으로 소리를 내니까 너무 좋았어요. 행복했어요.”

2년만에 피아노 독주회 여는 김선욱 인터뷰

김선욱은 18세에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주목받았던 피아니스트다. 어려서부터 지휘를 꿈꿨던 그는 2021년 KBS교향악단과 지휘자로 데뷔했다. 또 올 1월부터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의 예술감독을 맡으면서 한국 청중과 주로 지휘자로 만났다. 이번 공연은 한국에서 열리는 2년 만의 피아노 독주회. “예전에는 1인칭으로 치던 피아노를 이제는 3인칭으로 연주한다”며 행복하다는 그를 지난달 말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만났다.

오랜만에 어떻게 연습했나요.

“그냥 쳐요. 피아노 치는 게 너무 재미있어요. 옛날에는 잘 쳐야지 하면서 이거 못하면 내 인생이 어떻게 되는 것처럼 생각했는데 이제 안 그래요. 딱 하나만 틀려도 자괴감이 들었는데 지금은 ‘조금 아쉽네’ 하는 정도?”

어떻게 그렇게 바뀐 것 같나요.

“피아노 악보 보는 시간의 몇 배를 들여 오케스트라 악보를 보니까요. 이제 확실히 달라요. 피아노 악보가 좀 심플해 보이기도 하고요.”

피아노가 쉬워진 건가요?

“피아노를 치면서 오케스트라 악기를 떠올리게 되거든요. 단순히 화음만 연주하는 게 아니라 여기는 플루트로, 여기는 드럼으로 보이니까요. 머리로 상상하는 소리가 손으로 나와요. 그러니까 좀 더 관조적이 되는 거죠. 이제는 멀리서 제가 치는 걸 바라보고 소리를 듣는 것처럼 느껴져요. 1인칭에서 3인칭으로 간 거죠. 그게 되게 편해요. 음을 내는 그 자체가 너무 즐겁고요.”

지휘 스케줄이 워낙 많아서 피아노를 아예 못 치는 기간도 있죠?

“이번에도 거의 2주 만에 피아노 연습을 할 수 있었어요. 옛날에는 3일 정도 못 치면 너무 불안했는데 이제는 그런 것도 없어요. 그래서 이제는 (테크닉이 어려운) 라흐마니노프나 리스트 이런 거 안 치기로 했어요.”

피아니스트로서 빼놓을 수 없는 작곡가의 작품들인데요, 아예 안 쳐요?

“진짜 여유가 없어요. 1월부터 지금까지 하루도 쉬지 못했어요. 지휘 공부는 정말 노동의 시간을 들여야 하니까요. 그래서 이제 피아노로 연주하는 작곡가는 딱 7명을 정했어요.”

일곱 작곡가? 누구인가요?

“바흐,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 슈베르트, 슈만, 브람스요.”

나머지는 안 쳐요?

“7명도 너무 많다고 생각했는데요! 슈베르트 소나타가 21곡이고 슈만 피아노곡이 몇 곡인데요! 얼마 전에도 라흐마니노프 협주곡 2번 협연하자 해서 거절하고 안 한다고 했어요. 지난해 9월 정도부터였나. 이제 7명 작곡가 외의 작품 연주는 다 거절하고 있어요.”

아쉽지 않아요?

“아니요. 아쉬움을 느낄 여유도 없어요. 대신에 오케스트라로 말러, 슈트라우스 하잖아요. 오히려 복 받은 느낌이죠. 예전에는 늘 ‘이걸 내가 할 수 있을까’ 하면서 살았어요. 이제 피아노로는 하고 싶고 할 수 있는 것만 하고 싶어요.”

좋은 피아니스트를 지휘에 빼앗긴 것 같은 청중도 있을 것 같네요.

“아니에요. 그러니까 지휘와 피아노를 별개로 보기 때문에 그렇게 말씀하시는 거예요. 이분법이죠. 기자님만 그러는 게 아니라 거의 다들 그래요. 지휘와 피아노가 한 사람 안에서 공존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게 다들 어렵나 봐요.”

18세에 영국의 리즈 국제 콩쿠르에서 최연소, 최초 동양인 우승을 기록했던 피아니스트 김선욱.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지휘자와 피아니스트, 둘 다 메인으로 하는 음악가는 다니엘 바렌보임 정도밖에 떠오르지 않네요. 그 둘이 한 사람에게 공존할 수 있나요?

“저는 지휘를 할 때도 음악을 표현한다고 생각해요. 피아노도 내가 이렇게 저렇게 치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게 아니에요. 그냥 음악이 들렸으면 하는 거죠. 그런 면에서 지휘와 피아노가 서로 나뉘는 게 아니라니까요.”

피아니스트로서 굉장히 행복해진 것 같은데, 지휘자로서의 삶은 어떤가요?

“오케스트라 악보는 일단 음표의 숫자 자체가 많잖아요. 그리고 소리의 밸런스도 생각해야 하고요. 여기 이 부분은 금관 악기가 크게 연주하도록 적혀 있는데 진짜 소리를 상상해보면 다른 악기와 균형이 안 맞을 것 같아 몇초만 조금 작은 소리로 조정을 한다든지 그렇게 온종일 해요. 그러다가 너무 답답하면 피아노로 가서 뚱땅뚱땅 소리를 내보고요.”

피아노로 스트레스를 푸는 것 같은데요?

“안식처라 할 수 있어요. 특히 지휘자는 아무리 잘하고 싶어도 단원들이 잘해줘야 하잖아요. 리허설할 때 모든 에너지를 소진하고도 무대에 올라가기 전에는 ‘단원 선생님들 제발 부탁드립니다’ 기도하고 올라가는 수밖에 없어요. 피아노 칠 때보다 훨씬 더 긴장돼요. 그런데 피아노는 얼마나 좋아요. 제가 하면 되잖아요.”

지휘하면서 음악을 바라보는 관점도 바뀌었나요?

“인생을 배워나가는 것 같아요. 오케스트라가 작은 사회이기도 하고요. 내 마음대로 모든 게 안된다는 것도 배우고요. 제일 많이 좋아진 건 음악을 듣는 능력이에요. 지휘자는 소리를 정말 잘 들어야 하는데 예전에 피아노만 칠 때하고는 듣는 수준이 달라졌다고 생각해요. 지금 보니 예전에는 제 능력이 형편없는 거였어요.”

행복해 보이네요?

“행복해요. 이번에 보시면 피아노 치는 게 완전히 달라진 걸 느끼실 거예요. 여유가 생기고, 진짜 재미있게 한다고 느낄 수 있을 것 같아요.”

이번 독주회에서도 일곱 작곡가 중 셋(하이든·슈베르트·슈만)의 음악을 들려주죠. 어떻게 선정했나요?

“피아노로 노래하는 작품들을 골랐어요. 피아노를 치는 행위 그 자체가 아니라 음악이 들릴 수 있는 곡들이요.”

김선욱 안에서 지휘와 피아노의 공존이 앞으로 어떻게 나아갈 것 같나요?

“지금 지휘자 세계에서는 저를 피아노 치다 온 지휘자로 받아들이는 시작 단계예요. 피아노 세계에서는 더는 저를 피아니스트로 생각을 안 하는 것 같고요. 그래서 과도기인데 잘 견뎌야죠. 꾸준히 하다 보면 저도 모르게 계속 어딘가로 걸어가고 있겠죠. 원하는 걸 하고 있다는 데에 정말 감사해요.”

김선욱은 7월 5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하이든의 소나타 E플랫 장조, 슈만의 다비드 동맹 무곡집, 슈베르트 피아노 소나타 21번을 연주한다. 공연은 6일 용인 포은아트홀, 9일 대구수성아트피아로 이어진다.

관련기사

  • 임윤찬 “자꾸 유혹당했어요”…공연 D-40, 연주곡 뒤엎었다

  • "영화를 보기만 하던 아이들, 첫 오케스트라 소리에 충격 받더라"

  • 멈추고 훑고 폭발시킨 임윤찬…'흔한' 곡에 대한 파격적 해석

  • 인구 1700명 강원 작은마을 들썩…피아노 함께 연주한 '투 스타'

  • "첼로 선생님, 조금 작게요" IQ 162 지휘자 이승원이 왔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