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정치지도자 이스마일 하니예(앞줄 중앙)가 30일(현지시간)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 열린 이란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해 손을 들어 보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스라엘과 이란을 주축으로 한 이른바 ‘저항의 축’ 간 갈등이 일촉즉발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이란이 자국 대통령 취임식을 계기로 친이란 대리 세력인 이른바 ‘저항의 축’ 무장단체들과의 단결을 과시한 날,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정치 지도자가 이란 심장부에서 암살됐다. 같은 날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가 이스라엘의 공격을 받는 등 역내 확전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하마스 내 ‘협상파’ 지도자의 암살로 가자지구 휴전 협상도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31일(현지시간) 하마스는 정치국 최고 지도자인 이스마일 하니예가 이날 새벽 2시쯤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살해됐다고 밝혔다. 하니예는 전날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신임 대통령 취임식 참석차 테헤란을 방문 중이었다. 이란혁명수비대도 성명을 내고 하니예가 취임식 참석 후 현지 숙소에서 이스라엘의 급습을 받아 경호원과 함께 암살됐다고 확인했다.

이스라엘이 ‘중동 앙숙’인 이란 영토를 직접 공격한 것은 지난 4월19일 이후 102일 만이다. 다만 이스라엘군은 “외국 언론의 보도에 답하지 않는다”면서 사실 확인을 거부했다.

이란이 대통령 취임식을 계기로 중동지역 내 친이란 무장세력과의 단결을 대외적으로 과시한 날 이란 중심부가 공격 받은 것은 적지 않은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미 뉴욕타임스(NYT)는 암살 장소가 이란 수도 테헤란이라는 점이 주목할만 하다고 짚었다. 지난해 10월 하마스와 전쟁을 시작한 후 이스라엘군은 하니예를 표적으로 삼아 왔으나, 하니예 등 하마스 정치국 인사들이 본거지로 활동해온 카타르는 단 한 차례도 공격하지 않았다. 하니예가 이란을 공개적으로 찾은 날 그를 암살한 것이다.

30일(현지시간)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 열린 대통령 취임식장 맨 앞줄에 하마스 정치지도자 이스마일 하니예(왼쪽에서 세번째)가 자리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이날 취임식에는 하니예를 비롯해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의 2인자인 셰이크 나임 카셀,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이슬라믹지하드의 지도자 지야드 알나카라, 예멘 후티 반군의 대변인 무함마드 압둘살람 등 ‘저항의 축’ 지도자들이 맨 앞줄에 자리했다. 하니예는 취임식에 앞서 아야톨라 하메네이 이란 최고자, 페제시키안 대통령과 개별 면담을 하는 등 돈독한 연대를 과시했다.

이스라엘은 취임식 당일 국제사회의 만류에도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 공습을 단행하며 헤즈볼라와 이란에 분명한 경고 메시지를 보냈다. 이스라엘군은 이 공격으로 헤즈볼라 수장 하산 나스랄라의 ‘오른팔’ 격인 작전 고문이자 지난 27일 골란고원 축구장 공격을 주도한 푸아드 슈크르를 제거했다고 밝혔다.

이스라엘, 국제사회 만류에도 결국 레바논 수도 공습···“헤즈볼라 고위 지휘관 사망”

이스라엘이 미국 등 국제사회의 만류에도 결국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를 30일(현지시간) 공습했다. 지난 27일 이스라엘이 점령 중인 골란고원의 한 축구장에 로켓이 떨어져 어린이...

이스라엘군이 지난해 10월8일부터 계속된 헤즈볼라와의 무력 충돌 국면에서 베이루트 내 헤즈볼라 목표물을 타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양측은 가자지구 전쟁 발발 이후 매일 공격을 주고 받았지만, 이는 대부분 국경지대에 국한됐다.

이스라엘군이 불과 몇 시간 간격으로 친이란 무장세력의 최고위급 지도자들을 연이어 암살하면서 확전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헤즈볼라 수장인 나스랄라는 이스라엘이 레바논 수도를 공격할 경우 텔아비브에 대한 헤즈볼라의 공격이 시작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확전의 키는 ‘저항의 축’의 주축인 이란이 쥔 것으로 보인다. 이스라엘의 베이루트 공습을 맹비난한 이란은 하니예 암살에 대응하기 위해 이날 최고국가안보회의를 소집했다.

30일(현지시간)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 남부 외곽의 하렛 흐레이크 지역 한 건물이 이스라엘군의 공습을 받아 무너진 가운데 구조대가 건물 잔해에서 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다. AFP연합뉴스

중동지역 내 최대 앙숙인 이스라엘과 이란은 지난 4월 이스라엘이 시리아 주재 이란 영사관을 폭격하면서 상대방 영토를 향한 공격을 주고 받은 바 있다.

‘직접 대결’ 만큼은 피해 왔던 두 중동 국가가 서로의 영토를 향해 유례 없는 공격을 주고받으며 확전 위기감이 최고조로 치달았으나, 양측은 보복과 재보복을 주고 받으면서도 군사 거점을 겨냥한 ‘제한적인 타격’으로 어느 정도 수위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스라엘이 이번에도 확전을 피하기 위해 제한적인 대응 조치만 취할 것이란 주변국들의 관측과 달리, 레바논 수도까지 타격하고 급기야 이란 영토까지 공격하면서 중동 정세는 말 그대로 시계제로 상황에 높였다. 싱크탱크 국제위기그룹의 마이클 한나 연구원은 영국 가디언에 “모든 주체가 전면전을 피해왔지만 잠재적인 확전 사이클에 놓여 있으며, 이제 통제불능의 길로 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압박으로 재개된 가자지구 휴전 협상도 하니예의 죽음으로 중단될 가능성이 높다. 하마스 지휘부 가운데 ‘협상파’로 꼽혔던 하니예는 캬타르에서 하마스 정치국을 이끌며 이집트, 카타르 등 중재국들과 휴전 협상을 주도해 왔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