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민간기업의 남성 육아휴직 사용률이 지난해 처음 30%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이 직원에게 육아휴직 제도를 알리고 이용 의사를 확인하도록 의무화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1일 아사히 신문에 따르면 후생노동성이 직원 5명 이상 민간기업 3495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해 남성 육아휴직 사용률은 30.1%로 전년(17.1%) 보다 13%포인트 올랐다.

육아휴직 기간은 ‘1개월~3개월 미만’이 28.0%로 가장 많았다. ‘5일~2주 미만’(22.0%), ‘2주~1개월 미만’(20.4%)이 뒤를 이었다. 2021년 조사에서 ‘5일~2주 미만’(26.5%)이 가장 많았던 것과 비교하면 육아휴직 기간도 길어졌다.

사업장 규모별로 보면 직원 500명 이상 기업에서 육아휴직을 사용한 비율이 34.2%로 가장 높았다. 5~29명 기업이 26.2%로 가장 낮았다. 산업별로는 생활 관련 서비스·오락업(55.3%), 금융·보험업(43.8%) 순으로 높았다.

일본 정부는 2022년부터 기업이 의무적으로 임신·출산을 한 직원에게 육아휴직 제도를 알리고 이용 의사를 확인하도록 했다. 후생노동성 관계자는 “기업이 육아휴직 이용 의사를 확인하는 것이 직원들로 하여금 ‘육아휴직을 써도 되겠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2024년까지 남성 육아휴직 사용률을 5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지난해 4월부터는 직원이 1000명 이상인 기업의 경우 남성 육아휴직 사용률을 의무적으로 공표하도록 했다.

후생노동성이 18~25세 고교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벌인 육아휴직 의식 조사에서는 남학생 중 84%는 육아휴직을 사용하고 싶다고 답변했다. 63%는 취업을 준비할 때 기업의 육아휴직 제도를 고려한다고 답했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