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페퍼민트 NewsPeppermint

"한국에는 없지만, 한국인에게 필요한 뉴스"를 엄선해 전하는 외신 큐레이션 매체 '뉴스페퍼민트'입니다. 뉴스페퍼민트는 스프에서 뉴욕타임스 칼럼을 번역하고, 그 배경과 맥락에 관한 자세한 해설을 함께 제공합니다. 그동안 미국을 비롯해 한국 밖의 사건, 소식, 논의를 열심히 읽고 풀어 전달해 온 경험을 살려, 먼 곳에서 일어난 일이라도 쉽고 재밌게 읽을 수 있도록 부지런히 글을 쓰겠습니다. (글 : 송인근 뉴스페퍼민트 편집장)  

지난주부터 노벨상 수상자가 속속 발표되고 있습니다. 이번 주 경제학상 발표만 남겨둔 가운데 한국에선 한강 작가의 문학상 수상이 단연 가장 큰 관심을 받고 있지만, 그에 앞서 물리학상과 화학상이 각각 인공지능 개발에 기여한 과학자와 인공지능을 활용해 큰 진전을 이룩한 과학자에게 수여돼 지금은 '인공지능(AI)의 시대'임을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꼭 과학자나 개발자, 테크 기업에서 일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일상에서 점점 더 인공지능을 자주 접하고, 인공지능과 부대끼며 사는 시대입니다.

인공지능을 단연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채널은 챗GPT로 대표되는 챗봇일 겁니다. 챗GPT의 성능은 눈부시게 빠른 속도로 좋아지고 있는데,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쌓이는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해 지금 이 순간도 학습하고 축적하는 것이 가장 큰 비결입니다. 챗GPT를 개발해 운영하는 오픈AI뿐 아니라 구글과 메타 등 인공지능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빅테크 기업들은 전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더 많은 데이터를 확보하는 데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이용자가 원하면 내 데이터를 학습에 쓰지 못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고객이 자신의 데이터를 양도하도록 기본적으로 설정해 둔 경우가 많아 소용이 없습니다.

눈부시게 발전한 인공지능의 성능 덕에 챗봇은 이미 다양한 곳에 도입됐습니다. 거의 모든 서비스 기업의 고객센터는 챗봇을 통해 상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문자로 주고받는 대화라면 꼭 사람이 직접 하지 않더라도 챗봇이 인간을 대신해, 인간을 흉내내 내놓을 수 있는 답변이 꽤 많습니다. 물론 중요한 정보는 인간의 검수가 필요하고, 중요한 의사결정도 사람이 내려야 하지만, 그래도 챗봇의 쓰임새는 분명 빠르게 늘어났습니다.

이제 문자로 주고받는 대화뿐 아니라, 음성으로 하는 대화도 가능해졌습니다. 물리적인 질량을 가진 로봇을 만들어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행동하게 하는 건 여전히 어렵지만, 음성은 문자와 마찬가지로 데이터로 만들어내기 훨씬 쉽죠. 특히 아무 목소리가 아니라 특정 인물의 목소리도 데이터만 충분히 주어지면, 얼마든지 복제해 낼 수 있습니다. 팟캐스트  "셸 게임(Shell Game)"을 진행하는 에반 래틀리프가 자기 목소리를 학습해 흉내 내는 AI판 에반 래틀리프를 만들어 가족, 지인들과 통화를 시도했습니다.

  ▶ 뉴욕타임스 칼럼 보기 : 텔레마케터 전화를 AI에게 받게 했다... '괜찮은데?' 싶다가 깨달은 교훈
좋은 데이터를 많이 모아 학습할 수 있는 분야에서는 점점 더 인공지능이 능력을 발휘하는 세상이 올 겁니다. 특히 물리적 세계의 복잡성에 노출되지 않아도 되고, 순전히 데이터만 분석할 수 있는 분야부터 바뀔 겁니다.  유발 하라리는 자율주행 자동차가 현실에 도입되지 못하는 이유로 물리적 세계와 상호작용을 하는 일이 인공지능에 여전히 어려운 과제이기 때문이라고 진단합니다. 반대로 모든 것이 숫자와 데이터로 이뤄지는 금융은 인공지능이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기 훨씬 수월한 분야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한국으로 100달러를 보낼 때 100달러 지폐가 비행기를 타고 날아가지 않습니다. 그저 보내는 사람 통장 잔고에서 100달러가 줄고, 받는 사람 통장 잔고에 100달러(에 해당하는 원화)가 늘어나면 끝입니다. 적어도 금융에선 숫자와 데이터로 모든 게 움직이죠.)

AI 래틀리프는 이내 간파당했습니다. 그러나 래틀리프의 데이터를 더 많이 학습하고 나면 인공지능 음성봇은 머지않아 '전화 튜링 테스트'를 통과하게 될 겁니다. 그러면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음성봇이 전화를 걸어올 겁니다. 인공지능과의 대화라도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궁금한 질문에 답변을 해준다면 분명 쓸모가 있는 일이겠죠.

정교해지는 음성봇이 걱정되는 것도 당연합니다. 당장 보이스피싱이 더욱 감쪽같아지면 그로 인한 피해가 막심할 겁니다. 내 목소리나 말투를 똑같이 따라 하는 음성봇이라면 내 가족이나 지인을 속이기도 좋을 겁니다. 물론 기술이 발전할수록 그로 인한 피해나 부작용을 막기 위해 우리는 계속해서 보호장치를 마련할 겁니다. 기계의 방식을 새로 뛰어넘는  인간의 방식을 찾아낼 수도 있습니다.

다만 아무리 인간을 감쪽같이 흉내내는 인공지능이라도 인공지능과의 대화가 인간에게 더 큰 외로움을 안겨준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좀 더 근본적인 과제를 던집니다. 음성봇의 쓸모가 많아지면, 온 세상에 대화가 넘쳐날 테고, 역설적으로 사람과 사람의 대화, 교류는 빠르게 줄어들 겁니다. 잠을 잘 필요도 없고, 감정의 소모도 느끼지 않는 인공지능이 대화를 만들어내는 속도는 인간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빠를 테니까요.

AI 오물의 오디오 버전이 범람하는 세상에서 사람은 역설적으로 외로움을 느끼게 됩니다. 외로움을 달래고 덜기 위해서는 인공지능이 아무리 정교해지더라도 사람과 사람의 대화를 보장하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아직 오지 않은 세상이기에 정답을 미리 알 수는 없지만, 인간(人間)이란 단어의 의미처럼 서로 소통하고 교류할 때 사람답게 사는 것이라는 본질은 시간이 흘러도 바뀌지 않을 겁니다. 기술 자체를 거부하는 건 어렵겠지만, 적어도 최소한의 안전장치는 마련하고 기술을 받아들일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가야 합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