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2020년 사이 전 세계에서 줄어든 야생동물들 사례와 감소율. 산악고릴라와 유럽들소 등 일부 동물들은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자연기금(WWF) 제공

지구 야생동물 개체군의 규모가 지난 50년간 평균 73% 급감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세계자연기금(WWF)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4년 ‘지구생명보고서(Living Planet Report)’를 10일 공개했다. WWF는 2년마다 지구생명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으며, 올해 보고서가 15번째다.

이번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1970년~2020년 사이 ‘지구생명지수’(LPI)가 73%(통계적 오차를 고려한 범위 67~87%) 감소했다는 것이다. 이는 전 세계 야생동물들의 개체군 규모가 평균 73%가량 감소하는 재앙적 상황임을 의미한다고 WWF는 설명했다. 개체군이란 같은 지역에 서식하는 특정 생물 종의 집단을 의미한다.

WWF는 이 같은 야생동물 급감의 주된 원인을 식량 시스템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황폐화, 자원 남용, 외래종 침입, 질병 등을 꼽았다.

WWF는 전 세계 5495종의 생물을 대표하는 약 3만4836개의 개체군을 대상으로 50년 동안의 추세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가장 큰 감소세를 보인 개체군은 약 85%가 감소한 담수생물이었고, 이어 육상(69%)과 해양(56%) 생태계에서도 개체군 규모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후변화는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에 심각한 위협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WWF는 이들 지역의 지구생명지수가 평균 95% 감소했다고 밝혔다. 아프리카의 지구생명지수는 76%, 한국이 속한 아시아태평양는 60%, 북아메리카는 39%, 유럽·중앙아시아는 3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WWF는 이처럼 야생동물 개체군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은 지구 생태계 전체에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가져올 ‘티핑포인트’(임계점)가 다가오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경고했다. WWF는 앞으로 5년이 지구 모든 생명체의 미래를 결정할 것이라면서 티핑포인트에 다다르기 전에 세계를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티핑포인트란 생태계가 한계를 넘어 돌이킬 수 없는 변화를 겪는 상황을 의미한다.

WWF는 생태계의 티핑포인트 사례로 아마존의 열대우림이 회복되지 못하고 관목지대로 변해버리는 것을 의미하는 마름 현상이나 산호초의 대규모 폐사를 꼽았다. 지난 8월에는 아마존의 산불 발생 건수가 1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지난해부터 올해 사이 전 세계의 산호초 서식지에서는 사상 네번째로 꼽히는 대규모 산호 백화 현상이 발생했다.

커스틴 슈이트 WWF 국제본부 사무총장은 “생물다양성 손실과 기후변화라는 상호 연관된 위기가 야생동물과 생태계를 한계까지 몰아붙이고 있다”면서 “아마존 열대우림이나 산호초와 같은 소중한 생태계를 잃게 되면, 자연과 인류 모두 그 파괴적인 결과를 체감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WWF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기 위해서는 보전, 에너지, 식량, 금융 시스템의 전면적 혁신을 통해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손실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필요한 조치들로는 토착민과 지역 공동체의 권리를 존중하는 지속가능한 보전 조치와 재생에너지로의 신속한 전환과 화석연료 의존 축소, 지속가능한 농업 방식으로의 전환, 환경 파괴적 활동에 대한 자금 지원 중단 등이 꼽혔다.

박민혜 WWF 한국본부 사무총장은 “앞으로 5년은 우리의 미래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시간이 될 것”이라며 “전 세계 탄소배출량 상위 8위를 차지하는 국가로서 한국 정부도 더욱 책임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