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부산교대 통합합의서 서명식이 열린 지난 23일 오후 부산대학교 운죽정에서 부산대학교 차정인(왼쪽) 총장과 부산교대 박수자 총장이 통합합의서에 서명한 후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 부산대

지역 거점 국립대인 부산대와 부산교대 간 통합이 본궤도에 올랐다. 양 대학 총장이 통합안에 서명하면서 이들 대학은 2027년부터 한 몸이 된다.

난항 겪던 통합, 글로컬 지정에 급물살

24일 부산대와 부산교대에 따르면 이들 대학 총장은 전날 통합 최종 합의서에 서명하고 통합을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2027년 3월 두 대학은 ‘통합 부산대’로 거듭난다. 통합 논의가 시작된 건 2017년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지방대 위기에 힘을 합쳐 대응하자는 취지였다. 2021년 4월엔 통합을 위한 양해각서(MOU)도 체결했다. 하지만 초등 임용 응시 자격에 불이익이 올 걸 걱정하는 교대 재학생과 동문회 등 거센 반발에 논의는 난항을 겪었다.

지난해 선정된 글로컬대학. 김영옥기자

이런 분위기는 지난해 교육부가 ‘글로컬대학 30’ 공모를 받으면서 반전을 맞았다. 구조조정 등 대학별 혁신 사업 계획을 평가해 5년간 1000억원을 지원하는 이 사업에 부산대와 부산교대가 통합안을 응모해 본지정을 받았다. 이후 차정인 부산대 총장과 박수자 부산교대 총장을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통합추진위원회를 꾸려 7차례 협의를 진행했다. 협의에서는 대학 운영 체제와 학사 구조 개편 논의가 진행됐다. 이외에도 차 총장은 부산교대 학생들을 여러 차례 직접 만나 임용 응시 자격 보장 등을 약속하며 설득했다고 한다.

구성원간 ‘화학적 통합’에도 방점

부산대와 부산교대 통합안은 지난해 통합을 전제로 글로컬대 본지정을 받은 4곳(부산대ㆍ부산교대, 강원대ㆍ강릉원주대, 충북대ㆍ한국교통대, 안동대ㆍ경북도립대) 가운데 가장 일찍 도출됐다. 통합 부산대가 되면 학부ㆍ일반대학원 재적생이 3만3349명으로 서울대와 지역 거점국립대(9곳) 중 학생이 가장 많은 대학이 된다.

지금의 부산대는 ‘금정캠퍼스’, 부산교대는 ‘연제캠퍼스’라고 부르기로 했다. 연제캠퍼스에는 교육대학원과 교육연수원, 평생교육원 등 교육 기능을 비롯해 산학협력단이 이전할 예정이다. 교육 기능을 연제캠퍼스에 집중하는 한편 교류를 통해 구성원 사이의 ‘화학적 통합’에도 주력하겠다는 의미다. 직장 건물과 주택가가 많은 주변 여건을 고려해 연제캠퍼스는 시민에게 개방하는 오픈 캠퍼스로 운영된다.

부산대학교 전경. 사진 부산대

차정인 부산대 총장은 “통합은 지역, 산업과 연계를 통해 글로벌 혁신 대학으로 성장하는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자 부산교대 총장은 “교육 현안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교원을 양성하는 것은 물론, 양질의 교육 콘텐트를 갖춘 교육도시 모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