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근로자 10명 가운데 7명은 현재 공공기관·공기업만 하는 ‘성별 근로공시제’를 민간 대기업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근로공시제란 기업이 스스로 채용·근로(승진)·퇴직 등 고용 항목별 성비 및 격차를 공개해 차별 개선을 유도하는 제도다.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공공기관(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과 지방공사·지방공단(지방공기업법) 등 모두 509곳에서 시행 중이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최근 공개한 ‘미래사회 대응을 위한 양성평등 추진 전략 사업(2023∼2025)’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19∼59살 임금근로자 150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76.0%가 공공부문을 넘어 민간부문 대기업까지 성별 근로공시제 적용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중소기업도 적용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도 53.3%였다.

응답자들은 성별 근로공시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정보도 더 구체화하길 원했다. 지금은 ‘채용’ 항목에서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한 전체 인원 중 남·여 비율을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응답자 66.4%는 신규 채용도 정규직·비정규직으로 구분한 뒤 성별 지원자 수 대비 채용자 수까지 공시하는 형태를 선호했다.

현재 공시 정보로는 남·여 정규직 1인당 평균임금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만 확인이 가능하다. 그러나 응답자 56.0%는 임금을 기본급·수당 등 세부 항목으로 구분하는 한편 정규직·비정규직 등으로 나눠 성별 임금을 공개해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남·여 평균임금만 공개하면 된다는 응답은 18.3%에 그쳤다.

보고서 연구진은 “앞으로 고용형태별, 임금의 세부 항목별, 채용 지원자 수 대비 채용자 수 등 세부항목을 더 구체적으로 구분해 성별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