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2회 장애인의 날을 하루 앞둔 2022년 4월19일 비영리 단체의 공공 프로젝트에 중심의 이제석 광고연고소 관계자가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과 함께 기획한 “배리어 프리(Barrier Free) 알리기” 캠페인을 위한 스티커를 붙인 서울역 계단으로 한 시민이 이동하고 있다. 배리어 프리는 장애인이나 고령자들이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물리적이고 제도적인 장벽을 허물기 위한 캠페인이다. 김창길 기자

민간기업의 장애인 고용률이 10년 연속 상승 추세지만 여전히 의무고용률을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공공·민간부문 장애인 고용률이 3.17%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10년 전인 2014년 2.54%에서 꾸준히 올랐다.

국가·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의 장애인 고용률은 지난해 3.86%를 기록했다. 공공부문 의무고용률인 3.6%를 웃돌았다. 지자체가 5.9%, 공공기관이 3.90%, 중앙행정기관이 3.43%, 헌법기관이 2.86%, 교육청이 2.51% 순이었다.

노동부는 “자치단체는 장애인을 일자리 사업에 적극적으로 채용했고, 공공기관은 ‘장애인 고용현황 공시 의무화’ 등이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다만 공무원 고용률은 2.86%로 비공무원 장애인 고용률 6.14%보다 낮았다. 노동부는 “공무원은 교원, 군무원 등 장애인 채용여건이 어려운 특정직 공무원이 많아 낮은 것”이라고 했다.

장애인 의무고용 대상인 ‘상시 직원 50인 이상 민간기업’의 지난해 장애인 고용률은 2.99%였다. 2014년 2.45%에서 꾸준히 올랐지만, 민간부문 의무고용률 3.1%에는 미치지 못했다.

대기업이 민간부문 장애인 고용률 상승을 이끌었다. 1000인 이상 기업의 장애인 고용률은 전년 대비 0.11%포인트 올랐다. 민간부문 장애인 고용인원 21만5195명 중 10만9703명(51%)이 500인 이상 기업에 종사하고 있다.

임영미 노동부 통합고용정책국장은 “장애인 고용을 어려워하는 기업 대상 컨설팅을 대폭 확대하고, 중증장애인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설립규제를 완화하는 등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 확대를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