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에 잠긴 중고차 매매단지.(※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연합뉴스

중고차 구매와 관련한 소비자 피해구제 신청이 해마다 꾸준히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성능·상태 고지 내용과 실제 차량 상태가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소비자들의 꼼꼼한 확인이 필요하다.

21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3년(2021~2023년)간 중고차 구매 관련 소비자 피해구제 신청은 총 330건이다.

A씨는 지난해 5월 중고차를 구입하고 한 달도 안 돼 자동차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차량 검사를 받은 결과 엔진 누유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중고차 매매업체에 이의를 제기했지만, 성능 기록부상에 이상 소견이 없다며 책임을 보증보험사에 미뤘다. 보증보험사는 해당 사항은 보증이 불가하다며 책임을 회피했다.

B씨는 2021년 4월 내부에서 냄새가 심하게 나는 중고차를 세차하면 냄새가 빠진다는 딜러의 말을 믿고 구매했다. 하지만 세차 업체로부터 침수차량으로 의심된다는 얘기를 듣고 전문 검사업체에 검사를 맡겼다. 그 결과 침수차량이라는 판정을 받고 딜러에게 환불을 요구했지만 거부당했다.

최근 3년간 중고차 피해구제 신청 330건의 유형을 살펴보면 A씨와 B씨처럼 중고차를 살 때 받은 성능·상태 고지 내용과 실제 차량 상태가 다른 경우가 80.0%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계약금 환급 지연·거부가 6.1%, 모든 비용 부당 청구·미정산이 4.5% 등의 순이었다. 중고차 피해구제 신청은 2021년 94건, 2022년 112건, 지난해 124건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중고차 피해유형별 현황. 사진 한국소비자원

고지 내용과 실제 차량 상태가 다른 경우를 보면 성능·상태 불량이 57.6%로 가장 많았고, 사고·침수정보 고지 미흡 18.8%, 주행거리 이상 3.6% 등이 뒤를 이었다.

중고차 피해는 소비자와 판매자 간의 분쟁 해결도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구제 신청 330건 중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경우가 56.1%로 절반을 넘었다. 합의가 이뤄진 사례는 38.8%에 불과했고 조정신청을 한 경우는 5.1%로 집계됐다.

합의 방식은 배상이 가장 많았고, 환급, 수리·보수, 계약이행·해제, 부당행위 시정 순으로 나타났다.

피해구제 신청이 접수된 중고차 사업자의 소재지를 보면 경기도가 42.4%로 가장 많았고, 서울 21.8%, 인천 8.8% 등 대형 매매단지가 있는 수도권 소재 사업자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소비자원은 중고차 구매 시 ‘자동차 365’, ‘카히스토리’를 통해 사고 이력 및 침수 여부 등을 확인해달라고 당부했다.

중고차 매매시장.(※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연합뉴스

소비자원 관계자는 “성능·상태점검기록부 확인뿐 아니라 차량 시운전을 통해 차량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며 “판매원의 자동차 매매사원증과 자동차매매사업조합연합회 홈페이지 등록 여부를 확인한 후 계약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업자가 약속한 특약 내용 등을 매매계약서(자동차 양도증명서)에 포함해 꼼꼼히 작성해야 한다”고 했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