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4일 인사청문회에서 증인선서 이후 이동하고 있는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사진=김용욱 기자.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후보 청문 국면에서 청문 대상보다 야당에 비판이 쏠렸다. 일부 보수언론에선 야당 의원들의 고성과 막말 논란, 그리고 본질을 벗어났다는 취지의 ‘엉뚱한 빵 청문회’라는 비판적 보도가 잇따랐다. 정작 이진숙 후보의 편향적 발언 문제와 노조 탄압, 언론통제 등 행보에 대한 검증은 찾기 어려웠다. 대법원 판결까지 나온 명확한 사안조차 일부 언론은 외면하거나 ‘공방’으로 처리했다.

‘정쟁’ ‘빵문회’ 강조한 조선·중앙·한경·매경

이진숙 후보 청문 기간 중 조선일보·중앙일보·한국경제·매일경제 지면에선 이진숙 후보 검증은 찾아보기 어려웠고 민주당에 비판적인 기사가 잇따랐다.

조선일보는 지난 29일 <청문회 3일간 해놓고… 野, 이진숙 검증한다며 대전MBC까지 찾아가> 제목의 기사를 통해 야당의 대응이 과도하다는 데 초점을 맞췄다. 기사 첫 문단(리드)에 “공영방송을 겁박하기 위한 거대 야당의 위력 과시”라는 여당의 입장을 담았다. 또한 <“이진숙, 44년간 헌혈 안 했으니 방통위장 자격 없다”는 野>(7월22일) 기사에선 “정치권에선 민주당이 이 후보자 낙마를 위해 무리한 시비를 건다는 지적도 나온다”고 했다. <“당신” “극우적 뇌구조”… 이진숙 인신공격 난무>(7월27일) 기사에선 “인신공격과 신경전으로 얼룩졌다”고도 했다.

▲  지난 25일 한국경제 기사 갈무리

한국경제는 지난 24일 <이진숙, “MBC, 노조 때문에 정치성 강해져”> 기사를 내 이진숙 후보의 입장을 기사로 전했다. 매일경제 역시 같은 날 <이진숙, 野 사퇴 공세에 “자연인일 때 글 문제 삼나”> 기사를 통해 이진숙 후보 입장에 방점을 찍었다. 

‘엉뚱한 빵문회’라는 보도도 잇따랐다. 중앙일보는 지난 29일 ‘현장에서’ 기사를 통해 “정치권에선 청문회가 빵으로 시작해 빵으로 끝났다는 평가가 나왔다”며 익명의 여당 의원 발언을 담았다. 그러면서 “민주당이 주도한 빵문회 배경이 친야 성향 MBC 사수라는 것은 정치권에서 정설로 통한다”고 했다. 조선일보는 30일자 사설을 통해 “엉뚱하게 이 후보자의 빵 구매 의혹을 제기해 빵문회 하느냐는 비판을 받은 노종면 의원”을 언급하기도 했다.

▲  지난29일 중앙일보 기사 갈무리

보수언론 중에서는 동아일보가 여야 양측 모두를 비판하는 보도를 내 온도 차를 보였다. 동아일보는 지난 27일 사설에서 “야당의 도덕성 검증은 인신공격성 막말에 가려졌고 여당은 이 후보자를 둘러싼 많은 논란에도 무작정 두둔하기에만 급급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동아일보는 지난 5일 사설에서 이진숙 후보를 비롯해 내정된 장관급 인사 3명이 모두 대선 캠프 등 정부와 인연이 있는 인사라는 점을 지적하며 “그 나물 개각”이라고 비판했다.

법카 논란 엉뚱하다면 ‘본질’ 다룬 질의는 조명했나

법인카드 논란은 정당과 언론 간 인식차가 크다. 보수언론에선 본질을 벗어난 청문 사례로 이진숙 후보의 빵값 결제 등을 거론하지만 야당에선 과도한 빵값 결제 내역은 검증 대상인 법인카드 유용의 일환이라는 입장이다. 한겨레 등 진보성향 언론에서도 빵값 등 법인카드 결제 내역을 검증 차원에서 들여다보는 보도를 냈다. 

보기에 따라 법인카드 관련 질의가 청문 본질을 벗어났다고 볼 수는 있다. 그렇다면 청문의 본질과 관련한 문제 제기는 없었는지, 이진숙 후보는 적절한 답을 내놓았는지 살필 필요가 있지만 이 같은 보도는 보수언론에서 찾기 힘들었다. 이진숙 후보는 법인카드 논란 외에도 △노조 탄압 △보도 자율성 침해 △극단적 발언 △정책 전문성 부족 등 문제가 청문회에서 공통적으로 지적됐다. 이는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뿐 아니라 보수성향인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역시 공감한 대목이다. 

관련기사

  • 법카만 문제? 이진숙, 방송통신 정책에 제대로 답 못했다
  • ‘5·18 폭도’ 좋아요 누른 이진숙, 연좌제 해명 부적절한 이유
  • MBC와 달리 BBC노조는 언론자유 투쟁 안한다? 사실일까
  • 최선을 다했다? 이진숙 MBC 세월호 보도 이렇게 심각했다
▲ 지난 24일 인사청문회에서 답변하고 있는 이진숙 방통위원장 후보. 사진=김용욱 기자.

특히 2012년 MBC 파업 기간 회사가 트로이컷이라는 이름의 직원 사찰 가능 프로그램을 동의 없이 설치해 논란이 됐는데 이진숙 후보는 이를 묵인·방조해 노조 불법사찰 혐의로 손해배상 판결을 받았다. 방송사 노조를 탄압한 문제이자 프라이버시 침해의 당사자라는 점에서 문제가 됐지만 조선·중앙·매경·한경 지면 보도에선 트로이컷 언급을 찾아볼 수 없었다. 동아일보는 ‘공방’으로만 다루고 대법원 유죄 판결은 언급하지 않았다. 

2012년 MBC 파업 당시 이진숙 후보 주도로 인터넷 언론 위키트리와 계약을 맺고 노조에 공세적인 콘텐츠를 쏟아내는 일종의 여론 공작에 나서려 했다는 사실을 다룬 보도는 주요 종합일간지 가운데 한겨레, 경향신문에서만 찾아볼 수 있었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