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tyimage

직장·업무에 인공지능(AI)이 도입됐을 때 긍정적 영향은 정규직이나 고소득층이, 부정적 영향은 비정규직·저소득층이나 플랫폼·프리랜서노동자들이 비교적 더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10년 이후 AI로 인해 실직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는 100점 만점에 65.3점으로 조사됐다.

일하는시민연구소가 7일 발표한 ‘AI가 노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조사 결과를 보면, 직장의 AI 도입 비중은 업종별 평균 50.0%로 대부분 업종에서 절반을 넘겼다. 정보통신(75.0%)과 사무금융(61.5%) 업종이 많고 유통리테일(28.0%)과 교육 및 기타(17.9%)에서 적었다.

본인의 AI 활용 비중은 평균 30.7%로 나타났다. 광고기획마케팅(38.6%)과 정보통신(37.1%)에서 높고 사무금융(12.3%)과 유통리테일(17.9%)에서 낮았다. 고용형태별로 보면 정규직(32.6%)과 플랫폼·프리랜서노동자(30.4%)가 비정규직(28.4%)에 비해 높았다.

일하는시민연구소와 우분투재단은 여론조사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을 통해 직업·직무에 온라인이나 플랫폼을 활용하는 취업자 881명(19~54세)을 대상으로 지난 6월24일~7월10일 조사를 진행했다. 응답자 중 임금노동자는 386명(정규직 262명, 비정규직 124명), 플랫폼·프리랜서노동자는 495명이었다.

직장에서 AI를 도입했다는 이들에게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100점 만점으로 물은 결과, 긍정적 영향이 부정적 영향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긍정적 영향은 ‘부족한 부분 도움’이 58.4점, ‘업무시간 단축’이 57.9점, ‘작업량 감소’가 57.6점이었다. 부정적 영향은 ‘일감 감소’가 52.2점, ‘일자리 상실 불안’이 50.9점, ‘소득 감소’가 49.5점이었다.

긍정적 영향은 정규직과 중·고소득층에서, 부정적 영향은 비정규직과 저소득층에서 높았다. 정규직은 긍정적 영향 중 ‘부족한 부분 도움’에 61.1점을 줬고, 월평균 소득 250만~400만원 미만 응답자들은 ‘업무시간 단축’에 62.5점을 줬다. 비정규직은 부정적 영향 중 ‘일자리 상실 불안’에 58.3점을 주고, 월평균 소득 250만원 미만 응답자들은 ‘일감 감소’에 53.7점을 매겼다.

배달 노동자가 잠시 멈춰 서서 종이에 무언가 쓰고 있다. 한수빈 기자

‘본인이 AI를 활용 중’이라는 이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물은 결과 ‘일감 감소(33.7%)’ ‘소득 감소(32.6%)’ ‘업무량 감소(26.1%)’ 순으로 나타났다. 여기서의 ‘업무량 감소’는 업무량이 줄어 소득이나 일자리가 감소하는 부정적 영향을 뜻한다.

플랫폼·프리랜서노동자는 ‘일감 감소’(36.2%)와 ‘소득 감소’(33.7%)가 평균을 웃돌았다. 비정규직은 ‘업무량 감소’(30.9%)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업무량 감소’는 여성(27.0%), 저소득(27.3%), 청년(28.4%) 집단에서 높았고 ‘소득 감소’는 저소득(34.5%), 청년(33.7%), ‘일감 감소’는 중장년(34.2%)에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향후 10년 이후 AI로 인해 실직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는 100점 만점에 65.3점이었다. 업종별로 보면 웹툰·웹소설(75.9점), 미디어(75점), 광고마케팅(71.1점) 등이 평균보다 높았다. 비정규직(69.9점), 중장년(68.1점), 여성(66.9점), 업무 교육 무경험자(66.0점) 등에서도 실직 우려가 평균을 넘겼다.

김종진 일하는시민연구소 소장은 “AI 도입으로 인한 일감 상실, 소득 감소, 일자리 불안감 및 스트레스 인식은 각 노동시장 주체별로 내적 차이가 컸고, 비정규직이나 저소득 집단은 상대적으로 타격이 있는 집단으로 추정된다”며 “AI 도입·활용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의 부정성은 상쇄하고 긍정성을 위한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했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