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위기임산부 통합지원센터’가 21일 문을 열었다. 기존 ‘위기임산부 통합지원사업단’을 확대한 것으로, 위기임산부 상담과 출산ㆍ양육 지원을 맡는다.

앞서 서울시는 출생신고가 되지 않은 출생미신고 영아 문제가 심각해지자, 지난해 9월 전국 최초로 비밀상담을 원칙으로 하는 통합지원을 시작했다. 이번 센터 출범에 앞서 지난 7월부터 전담 인력을 4명에서 10명으로 늘렸다. 뜻하지 않은 임신이나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출산과 양육에 갈등을 겪고 있는 위기임산부를 지원할 때 상담사 역할이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지난달 19일부터 ‘출산통보제’와 ‘보호출산제’가 시행된 이후 성과도 있었다. 출산통보제는 의료기관이 아동 출생 사실과 출생 정보를 14일 이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을 거쳐 자치단체에 의무적으로 알리는 제도다. 이 제도와 맞물려 임신 출산 사실을 감추고 싶은 임산부를 위해 신원을 밝히지 않고 의료기관에서 출산할 수 있는 보호출산제도 만들어졌다. 서울시는 “지난달 위기임산부 2명이 보호출산을 신청했는데 이 중 한 명이 센터에서 상담 등을 통해 보호출산을 철회하고 자녀를 돌보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부터 현재까지 위기임산부 206명이 상담·시설보호·의료비 지원과 같은 도움을 받았다. 30대(57명)가 가장 많았고, 이어 20대(54명)·10대(42명)·40대(9명) 순이었다. 나이를 밝히지 않고 비밀상담을 신청한 이도 44명이었다. 직접 상담을 신청한 위기임산부가 64%(131명)에 달했다.

지난 7월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이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인구 비상대책회의에서 참석자들에게 위기임산부 상담 '1308' 관련 명함을 전달하고 있다. 뉴스1

위기임산부가 시설입소를 요청하면 소득과 관계없이 한부모가족복지시설에서 머물 수 있다. 서울시는 올해 하반기에 위기임산부 보호 쉼터 10호를 새롭게 마련할 계획이다. 전국의 위기임산부는 지역과 상관없이 전국 대표번호 ‘1308’로 전화하면 서울시 위기임산부 통합지원센터를 비롯해 가까운 지역상담기관과 연결돼 비밀상담을 받을 수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위기 임신은 단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가 관심을 가지고 지속해서 지원해나가야 한다”며 “서울시는 앞으로도 위기임산부가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출산을 결정하고 자녀를 양육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