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홍주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가 고도난청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제공

보청기로도 효과가 없는 고도난청 환자의 달팽이관에 전극을 삽입하는 인공와우 이식 수술로 청각기능뿐 아니라 뇌의 관련 영역 또한 회복된 양상이 세계 최초로 확인됐다.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박홍주 교수팀은 후천적 청각장애 때문에 한쪽 귀에 인공와우 이식 수술을 받은 성인 16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했다고 22일 밝혔다. 이식 1년 후 촬영해 분석한 뇌 자기공명영상(MRI)에선 청각과 언어능력 등을 관장하는 대뇌피질의 부피가 이식 전과 비교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와우 이식은 보청기를 껴도 소리를 듣기 어려운 심한 난청 환자들이 마지막으로 택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수술 후 의사소통에 지장을 겪지 않게 돼 청각재활 효과가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연구진의 앞선 연구에선 고도난청 환자들에게서 청각 및 언어 인지기능과 관련된 뇌 상부 측두엽 등의 대뇌피질 부피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령 환자는 단순히 소리를 듣기 어려워지는 데 그치지 않고 언어 처리를 비롯한 인지기능 전반이 저하되는 탓에 난청이 치매로 이어지기 쉽다. 인공와우를 통해 꾸준히 청각 피질을 자극하면 이 같은 진행을 막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인공와우 수술 전후 대뇌피질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영상의학적으로 분석해 실제 뇌 기능이 회복됐는지를 확인했다. 그 결과 소리를 듣는 기능과 직결되는 청각피질을 포함해 대뇌피질의 부피가 크게 증가했으며, 대뇌피질이 회복된 정도는 청각기능이 회복된 정도와 강한 연관성을 보였다. 또한 단어 인식능력의 호전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뇌 윗쪽 측두이랑의 부피 역시 수술 후 커진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이런 변화가 청각능력의 향상에 따라 뇌 청각중추 구조 역시 회복됐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인공와우 이식이 청각 회복과 함께 실제 뇌의 영역별 부피가 회복되도록 이끄는 변화를 장기간 추적한 최초의 연구다. 박홍주 교수는 “나이가 들어 청력이 떨어지면 단어 인식능력도 저하돼 의사소통에 장애가 발생하기 쉽다”며 “난청은 장기적으로 치매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일차로 보청기를 사용해야 하고, 보청기로도 충분한 의사소통이 어려울 경우 인공와우 이식을 통해 적극적으로 난청을 치료할 것을 권한다”고 밝혔다.

난청고도난청인공와우보청기인지치매청각인지능력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