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원두. unsplash

국내 디카페인 표기 기준이 해외 주요국의 표기 기준을 밑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늘어나는 디키페인 수요를 감안해 디카페인 표기 기준을 국제 기준에 맞춰 재조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디카페인 커피 생산량은 1만2358톤으로 2019년 1637톤에 비해 7.5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커피 생산량 중 디카페인 커피 생산량 비중은 0.2%에서 1.3%로 늘었다.

디카페인 커피 수입 규모도 증가하는 추세다. 디카페인 커피 수입량은 2019년 671톤에서 지난해 1410톤으로 2.1배 늘었다.

불면증 등 커피에 함유된 카페인의 부작용을 피하려는 소비자가 늘면서 디카페인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카페인 과다 섭취를 방지하기 위해 편의점과 마트 등에서 유통되는 제품 외에 커피전문점과 제과점 등에서 직접 만들어 파는 커피에도 ‘총 카페인함량’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카페인 함량을 90% 이상 제거한 경우에는 디카페인(탈카페인) 표기가 가능하다.

국내 디카페인 표기 기준은 해외 주요국과 비교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유럽연합(EU)과 미국 농무부(USDA)는 카페인 함량을 각각 99%, 97%이상 제거해야 디카페인 표기를 할 수 있다.

박희승 의원은 “대다수 소비자들은 자신이 마시는 디카페인 음료에 카페인이 어느 정도 포함됐는지 모르고 마시는 경우가 많다”며 “국내에 판매 ·유통되는 디카페인 커피 내 카페인 비중을 고지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강화하고 국제 기준에 맞춰 디카페인 기준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