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부터 산안법 위반 4448명 중 실형은 68명 그쳐

‘사업주 딱한 사정’ 판사 인식…과실범으로 형량 줄어

노동계 “형사처벌뿐 아니라 고액 배상금 필요” 주장

사진 크게보기

지난해 경남 통영의 한 공사 현장에서 A씨가 안전모 없이 건물 출입문에 패널을 설치하는 작업을 하다 추락해 사망했다. 책임자 B씨는 작업 현장에 안전난간을 설치하고 A씨에게 안전모를 착용하도록 할 의무가 있었지만 지키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법원은 B씨가 동종 범죄 전력이 없다는 등 이유로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서울의 주류도매업체 사장 C씨는 법정 최저시급이 7530원에서 9160원까지 올랐음에도 2018년부터 5년간 직원 D씨에게 시급 7177원으로 책정한 임금을 지급했다. 이로 인해 D씨는 5년간 법정 최저임금에 비해 총 1300만원을 덜 받았다. 법원은 C씨가 92세의 고령이라는 점 등을 고려해 ‘벌금 100만원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했다.

최근 6년간 산업안전보건법과 최저임금법을 위반해 징역·금고 등 실형을 선고받은 사례가 각각 100명 중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아 산업재해를 초래하거나, 정해진 시급대로 임금을 지급하지 않아 기소되더라도 ‘솜방망이 처벌’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대법원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2019년부터 지난 6월까지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으로 재판에 넘겨진 4448명 중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은 이는 68명으로 1.5%에 그쳤다. 벌금·과태료 등 재산형이 68.1%(3032명)로 가장 많았고 집행유예가 20.0%(893명)로 뒤를 이었다. 무죄는 5.2%(235명)였다.

최저임금법 위반 사건의 실형률도 1%대에 그쳤다. 최근 6년간 기소된 237명 중 1.6%인 4명에게만 실형이 선고됐다. 재산형이 58.2%(138명)로 절반 이상이었고 집행유예 21.0%(50명), 무죄 6.7%(16명)였다. 올해와 지난해에는 실형이 선고된 사례가 단 한 건도 없었다.

임금체불 등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실형이 선고된 비율도 13.2%(2869명)로 10명 중 1명 수준이었다. 재산형은 35.3%(7635명), 집행유예는 22.0%(4773명), 무죄율은 2.3%(513명)였다.

법원은 고의가 인정되지 않는 이상 과실범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벌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형법 14조에 따라 과실범은 별도 처벌규정이 있는 경우에만 형사 처벌하는 것이 원칙이다. 한 현직 판사는 “사업주가 딱한 사정을 가진 사례도 많고 대체로 과실범으로 판단되므로 실형을 선고할 만한 경우가 많지 않다”고 했다.

사업주에 대한 법원의 온정적 시선이 작용한 결과라는 분석도 있다. 권혁 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을과 병의 다툼’이라는 시각, 즉 사업주로서 충분한 적격성을 갖추지 못한 사람들이 악의적이지 않을 수 있었다고 보는 관점이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이승길 전 아주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도 “전부 대기업 같은 환경은 아니고 열악한 곳도 많기 때문에 강한 처벌을 내리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노동계는 손해액에 관계없이 고액의 배상금을 내도록 하는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 등 보완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형사 처벌뿐 아니라 민사 책임 수위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박 의원은 “미미한 처벌을 내릴수록 서민 경제는 안 좋아진다”며 “임금체불 등 범법 행위에 대해 처벌을 강화해야 경제도 활성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