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경주국립공원 불국사를 찾은 관람객들의 모습. 국립공원공단 제공

통행세 논란을 일으켰던 문화재관람료가 사라진 지 1년 만에 국립공원 탐방객이 140만 명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립공원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5월부터 올해 4월까지 문화재관람료를 폐지한 14개 국립공원내 21개 사찰의 탐방객 수는 총 1320만 명으로 집계됐다. 관람료가 폐지된 지난해 5월 4일 이전 1년(2022년 5월~2023년 4월, 1180만 명)보다 140만 명(11.9%)이 늘었다.

관람료에 주차비까지 없앤 내장산…탐방객 56.1%↑

정근영 디자이너

내장산국립공원 백양사 코스는 대표적인 ‘인기 급등’ 관광지였다. 52만 명에서 81만 명으로 1년 새 탐방객이 56.1% 급증했다. 내장산국립공원은 지난해 백양사 문화재관람료를 없앤 데 이어 올해부터는 주차 요금도 받지 않고 있다. 김지연 내장산국립공원사무소 행정과장은 “과거에는 관람료와 주차비를 포함해 4인 가족 기준으로 2만 원 정도를 내야 했다”며 “탐방객이 늘고 아낀 돈을 주변 식당 등에 쓰다 보니 상인들도 무료 개방을 반긴다”고 말했다.

경주국립공원 불국사와 석굴암은 최근 1년간 각각 197만 명과 93만 명이 방문해 30% 이상의 증가 효과를 봤다. 특히 벚꽃 시즌이었던 지난달 17일 하루에만 4만 2000여 명이 불국사를 찾았다. 경주국립공원은 불국사와 석굴암 관람료로 6000원씩 받는 등 가장 입장료가 비쌌던 곳이다. 강유정 경주국립공원사무소 행정과장은 “과거에는 비싼 관람료 때문에 불국사나 석굴암 중에 한 군데만 가는 경우도 많았는데 (관람료가) 폐지된 이후로는 편하게 올 수 있어서 너무 좋다는 얘기들을 많이 듣는다”고 했다.

▶속리산 법주사 ▶치악산 구룡사 ▶가야산 해인사 ▶지리산 쌍계사 등 유명 사찰이 있는 국립공원들도 탐방객이 10% 이상 증가했다. 반면 다도해(향일암)·소백산(부석사) 등 일부 국립공원은 무료 개방에도 탐방객이 줄었다.

지난 4일 계룡산국립공원을 찾은 탐방객들의 모습. 국립공원공단 제공

국립공원공단 측은 유명 사찰이 있거나 대도시에 인접한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관람료 폐지에 따른 탐방객 유입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했다. 대전·세종시와 가까운 계룡산국립공원의 탐방객 수가 30% 가까이 증가한 게 대표적인 사례다. 세종시에 거주하는 김모씨(40)는 “계룡산국립공원까지 차로 20분 정도면 갈 수 있다 보니 공짜가 된 이후로는 주말에 가족들과 종종 나들이를 가게 된다”고 말했다.

“산적 통행세” 비판에 폐지…정부가 예산 지원

문화재관람료는 50년 전인 1970년부터 국립공원 입장료와 통합 징수돼 왔다. 하지만, 2007년 국립공원 입장료가 폐지된 이후에도 사찰 측이 문화재관람료를 따로 받으면서 등산객과 갈등이 생기기 시작했다. 등산객들은 “절을 들르는 것도 아닌데 왜 문화재 관람료를 내야 하느냐”며 불만을 제기했고, 청와대 게시판에는 “등산객들을 상대로 통행세를 뜯는 ‘산적’ 단속법을 제정해달라”는 청원이 올라오기도 했다. 실제로 국립공원 내에 있는 14개 사찰이 탐방로 입구에서 관람료를 받았다.

논란이 커지자 조계종은 지난해 5월 4일부터 문화재관람료를 받지 않기로 했다. 대신 정부가 관람료 감면 비용을 예산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올해는 554억 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입장료에 환경 비용까지 세금으로 부담”

지난 4일 경주국립공원 불국사를 찾은 관람객들의 모습. 국립공원공단 제공

일부 사찰에선 관람료를 받지 않는 대신 주차비 명목으로 돈을 받으면서 등산객과 갈등을 빚고 있다. 탐방객 증가에 따른 불법 주차와 쓰레기 문제 등 국립공원 환경 훼손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인철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사무국장은 “기존에 받던 입장료를 예산으로 충당하고 있는 데다가 탐방객 증가에 따른 쓰레기 처리 등 환경 비용까지 합치면 결국 더 많은 세금이 들어가는 셈”이라며 “현재의 방식이 지속 가능할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