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오후 라인야후가 입주해 있는 일본 도쿄 지요다구의 도쿄가든테라스기오이타워에 사람들이 들어가고 있다. 걸어가는 사람 앞으로 ‘라인야후’라고 적혀 있다. ⓒ연합뉴스

일본 유력 일간지들이 일본 총무성의 라인야후 자본 관계 재검토 요구를 지지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사태가 한일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하는 언론사는 일부에 불과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29일 발표한 <LINE야후 사태를 바라보는 일본 언론의 시각>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언론은 라인야후 사태와 관련한 일본 정부 발표를 비판 없이 옮기고 있으며 일본 총무성의 자본 관계 재검토 요구를 지지하고 있다.

언론재단은 “일본 주요 신문사의 기사나 사설에서는 일본 총무성 대응방식을 옹호하는 기사와 사설이 지배적”이라며 “정부의 발표 내용을 비판 없이 그대로 옮기는 것을 ‘발표 저널리즘’ 관행이 라인 사태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요미우리신문은 지난 3월12일 사설에서 “라인야후는 책임의 엄중함을 자각하고, 관리 체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했으며, 산케이신문은 지난 4월2일 “신뢰할 수 있는 경영 체제로 혁신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했다. 이들 언론은 총무성이 라인야후 사태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를 두고 언론재단은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따끔한 지적임은 분명하지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고개를 갸우뚱하게 한다”고 지적했다.

닛케이신문은 지난 4월10일 보도에서 라인야후 자본 관계 재검토 요구가 한국과 외교마찰을 불러올 수 있다고 우려하면서도 정보유출 사태의 책임이 네이버에 있음을 강조했다. 언론재단은 “(닛케이신문은) 정보 유출에 대한 네이버의 책임을 부각시키고, 총무성의 행정지도가 단순한 경영권의 문제가 아닌 정보 보호 차원에서 필요하다는 점을 내비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총무성 행정지도를 비판하는 언론은 일부였다. 경제주간지 동양경제는 <라인야후에 대한 행정지도가 악수인 3가지 이유> 보도에서 네이버의 보안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의 근거가 부족하며, 개인정보 유출문제와 자본 관계 재검토의 연관성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또 동양경제는 이번 총무성 결정이 ‘한국과 일본은 상대국 기업을 자국 기업과 동일하게 대우해야 한다’는 한일투자협정을 위반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관련기사

  • 윤 대통령 日에 라인사태 유감표명 없자 “마지막 기회 잃어”
  • 윤 대통령 기시다에 “라인야후, 외교관계와 별개” 발언 파장
  • 신임 일본 대사에 라인야후 매각 묻자 “...”
  • 조국 독도 방문까지 번진 라인 매각 사태, 네이버 속내는

지난해 11월 라인의 이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네이버 클라우드가 해킹당하자 일본 총무성은 행정지도를 통해 “정보 유출의 온상이 된 네이버와 라인야후의 공통 시스템을 조기에 분리하고 자본 관계를 재검토할 것”을 촉구했다. 라인야후의 지주회사는 소프트뱅크와 네이버가 50%씩 출자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양국 간 불필요한 현안이 되지 않게 잘 관리해나갈 필요가 있겠다”며 라인야후 사태에 대한 입장을 밝혔으나, 야당과 언론에선 윤 대통령이 직접적인 유감 표명을 하지 않았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를 두고 한겨레는 지난 28일 사설 <라인 지분매각 요구 아니라며, 일본 대변하는 대통령>에서 “윤 대통령은 일본의 입장을 혼자서 먼저 ‘이해’하기에 앞서, ‘라인야후에 지분 정리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라고 명확하게 밝힐 것’을 일본 정부에 ‘요구’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