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목동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김현주 교수

지난달 28일 김현주 이대목동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가 서울 서초구의 한 실내 공연장에서 ‘북아현동 가는 길’을 부르고 있다.

성소수자·산재 유가족 등과 함께하는 작은 음악회 꾸준하게 열어
“누가 죽어야 깨닫는 사회”…화성 화재 참사 희생자 위한 공연 준비

“문득 깨보니 작은 새/ 보이지 않고 차가운/ 겨울밤 날갯짓하던/ 아 너의 목소리 들리지 않으니/ 나 노래할 수밖에…”

지난달 28일 서울 서초구의 한 공연장에서 김현주 이대목동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가 ‘북아현동 가는 길’을 불렀다.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합창단 ‘지보이스’가 부른 ‘북아현동 가는 길’은 성 정체성을 이유로 차별에 시달리다 세상을 등진 동료를 기리기 위해 만든 노래다.

김 교수는 “지보이스의 가사를 보면 많은 사람이 나온다. 그중에는 성 정체성에 대한 혐오로 죽은 자기 합창단 동료에 대한 노래도 있다”며 “변희수 하사의 죽음도 그렇고, 성 정체성을 이유로 받은 혐오 때문에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이들이 있다는 것이 너무 슬펐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차별받고 소외당하는 이들을 위한 음악회를 열고 있다. ‘노래하는 공장 의사의 작은 음악회’다. 김 교수가 자신의 직업을 일컬은 ‘공장 의사’는 산업 현장의 근로 환경이나 노동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를 뜻한다.

경향신문이 7일 만난 김 교수는 올해 들어 4번째 공연을 이어가고 있다고 했다. 김 교수는 “우리 사회는 누가 죽어야만 그제야 깨닫는다”며 “이런 차별과 죽음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음악회를 통해 주변에서 벌어지는 문제를 공유하고, 아픔과 고통을 더 널리 알리겠다는 취지다.

그의 시선은 소외된 이들, 차별당하는 이들을 향해 있다. 지난달 공연에서 김 교수는 성소수자 단체 합창단 ‘지보이스’, 탈시설 중증발달장애인들과 장애인권단체 활동가들이 모인 ‘노들노래공장’, 이주노동자 밴드 ‘스탑크랙다운’ 등에서 악보를 받아 편곡을 의뢰했다. 김 교수는 “노랫말을 되새기며 이들의 아픔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가 음악회를 시작한 것은 종합예술단 ‘봄날’에서 연대 공연을 한 것이 계기가 됐다. 봄날은 세종호텔 노동자, 산업재해 유가족, 세월호·이태원 참사 유가족 등을 위해 노래를 불렀던 사회참여 합창단이다. 그는 “많게는 한 해에 43회 거리 공연을 하기도 했는데 노래하는 사람도, 듣는 사람도 위로를 받았다”며 “노래의 힘이 세다고 느꼈다”고 했다.

최근에는 경기 화성에서 일어난 아리셀 화재 참사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 김 교수는 “복잡다단한 ‘기형적 하도급 구조’가 만든 모순이 터진 것”이라며 “산업 구조와 고용 형태의 변화에 맞춰 모든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해 작업에 배치되기 전 해당 작업이 노동자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발생 가능한 사고는 어떤 것인지 등을 미리 알 수 있어야 하지만 책임이 불분명한 불법 혹은 편법 파견은 이를 점점 어렵게 만든다는 취지다. 그는 아리셀 화재 참사를 당한 이주노동자들을 위한 특별 공연을 준비하고 있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