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서울 지역상생을 위한 생활인구 창출 사업’의 하나로 지난달 26일 강원도 인제군 냇강마을에서 냇강두레농업 협동조합의 조합원들이 블루베리 묘목을 심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패스파인더 제공

전국 89개 인구감소지역의 생활인구가 약 2500만명으로 집계됐다. 등록인구 대비 체류인구의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전남 구례로 나타났다. 정주하는 사람보다 관광 등의 목적으로 방문한 사람의 수가 훨씬 많다는 뜻으로, 지역 축제의 영향이 컸다는 평가이다.

행정안전부와 통계청은 25일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올해 1분기(1~3월) 생활인구를 산정하고 그 결과를 공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생활인구는 2023년 제정된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에 근거를 둔 새로운 인구개념이다. 인구 감소·지역 소멸에 대응하려면 정주인구만이 아니라 지역에 체류하며 실질적인 활력을 높이는 사람까지 인구로 정의하고,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판단에서 도입됐다.

주민등록인구와 체류인구(통근·통학·관광 등의 목적으로 방문해 체류하는 사람으로서 월 1회, 하루 3시간 이상 머무는 사람), 외국인을 합해 집계한다.

정부는 지난해 인구감소지역 7곳을 선정해 시범적으로 산정했고, 올해 인구감소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생활인구를 산정했다. 이후로도 분기별로 생활인구를 집계할 계획이다.

이번 산정에 활용된 자료는 행안부의 주민등록과 법무부의 외국인등록 정보를 이동통신 자료와 가명·결합한 것으로, 통계청에서 이를 활용해 인구 통계적 특성, 활동 특성 등을 분석했다.

산출 결과 인구감소지역의 전체 생활인구는 약 2500만명이고, 체류 인구는 약 2000만명으로 등록인구(약 490만명)의 4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등록인구 대비 체류인구의 배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 구례군으로, 체류 인구(44만9206명)가 등록인구(2만4408)의 18.4배였다. 그 다음으로 강원 양양(10.2배), 경남 하동(10.0배), 경기 가평(9.9배) 등이 꼽혔다.

구례와 하동은 3월에 체류인구가 큰 폭으로 늘었다. 이 시기 열린 산수유 축제, 벚꽃 축제를 보러 관광객이 몰렸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가평은 체류인구(68만1475명)의 수가 가장 많고 월별 분포도 고르게 나타났다. 청년층 사이에서 서핑 성지로 떠오른 양양은 1~3월 모두 등록인구 대비 체류인구가 10배 이상이었다.

전국 인구감소지역 시군구의 등록인구 대비 체류인구의 배수(2024년 3월 기준). 행안부·통계청 제공

인구감소지역의 등록인구 대비 체류 인구 배수는 도별로 강원(5배)이 가장 컸고, 체류 인구 중 타 시·도 거주자 비중은 충북(79.9%)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체류 인구는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다. 절대적 수는 60대가 많았으나, 등록인구 대비 체류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30~40대였다. 평균 체류 일수는 3.4일, 숙박을 한 경우 평균 숙박 일수는 4.0일로 분석됐다.

행안부는 이번 분석 결과를 필요 기관이 인구감소 대응 정책·사업을 추진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행안부·통계청은 2분기 생활인구 산정부터 신용카드 이용정보와 신용정보사의 직업 정보 등을 추가해 보다 구체적인 체류인구 특성을 산정할 계획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통신자료로는 체류시간 정도밖에 알 수 없지만, 앞으로 신용카드 정보로 어떤 소비활동을 했는지, 직장 정보로 방문 목적은 무엇이었는지 추정할 수 있게 되면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길이 열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