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GettyImagesBank

부천화재참사 유가족들이 언론과 포털에 댓글창을 닫을 것을 촉구했다.

부천화재참사유가족모임과 재난피해자권익센터 우리함께는 지난 9일 ‘부천화재참사 49일 시민추모제’ 등 관련 기사에 다수의 악성댓글이 확인됐다며 언론과 포털에 요청사항을 발표했다.

이들 단체는 △ 참사명을 ‘8·22 부천화재참사’로 쓸 것 △ 부천화재참사 관련 보도에 댓글창을 닫을 것 △포털 사업자는 해당 주제 기사의 댓글 서비스를 중지할 것을 요청했다.

이들 단체는 “희생자의 명예가 훼손될 수 있고, 안정을 취해야 할 유가족과 참사의 부상자들이 고스란히 혐오 피해에 노출되고 있다”며 “재난피해자의 피해 회복과 추가적인 혐오 피해 예방을 위해 포털 및 언론사께서 요청에 응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했다. 

이들 단체가 발표한 악성댓글 사례에는 “역시 또 국가탓”, “뭐 대단한 벼슬이라고”, “이것도 이용해먹냐” 등이 있다. 사망자 대부분이 중국인이라며 중국인 비하 표현을 쓴 댓글도 있었다.

관련기사

  • ‘댓글창 닫기’ 요청에 ‘귀 닫은(!)’ 언론사 어디였나
  • 이태원 참사 1주기… 네이버·카카오에 “댓글 서비스 중지 요청”
  • 네이버 ‘자살보도’ 기사 댓글창 없앤다

참사 때마다 포털 악성 댓글 문제가 이어지고 있다. 2022년 국민일보가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이원재 교수팀에 의뢰해 ‘이태원 참사’ 당일부터 열흘 뒤인 11월 9일까지 이태원 참사 기사 댓글 123만여개를 분석한 결과 혐오댓글이 58.27%로 절반을 넘겼다. 혐오가 감지되지 않은 ‘비혐오 댓글’은 41.72%에 그쳤다. 

포털 뉴스는 주목도가 높다는 점에서 댓글 문제로 인한 악영향도 크다. 2022년 한국언론진흥재단 조사에 따르면 이태원 참사 관련 댓글을 접한 이용자의 71.4%는 ‘혐오적이거나 인신공격성 댓글’을 경험했다고 밝혔다. 응답자의 55.8%는 ‘이태원 참사’와 같은 국가적 재난이나 사고가 발생 시 관련 뉴스 및 정보에 달리는 댓글창을 차단해야 한다고 답했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