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원광대·아주대병원 등 전원 환자 100%가 ‘처치 불가’

전공의 이탈 이후 응급치료부터 당직까지 모두 전문의가 담당

박희승 의원 “정부, 센터 늘리는데 제 기능 못해…신속 해결을”

올해 들어 권역외상센터에서 적절한 응급 수술·처치를 하지 못해 전원하는 사례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올해 상반기 권역외상센터 환자 134명 가운데 응급 수술·처치가 불가하거나 전문 응급의료가 필요해 다른 병원을 찾은 환자가 41.8%(56명)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20.4%)의 두 배가 넘고, 2019년(7.1%)의 약 6배로 늘었다. 그동안 외상센터의 전원 사유 대부분은 ‘경증 또는 환자 사정’이었다. 그러나 올해 의·정 갈등으로 의료공백이 심각해지면서 수술·처치를 하지 못해 전원한 비율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복지부 자료를 보면 지난 5년(2019~2023년) 경증 또는 환자 사정으로 전원된 비율은 73~8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그러나 올해(6월 기준)는 응급 수술·처치 불가 또는 전문 응급의료를 필요로 전원된 비율이 41.8%로 급증했다.

특히 올해 상반기 충북대, 원광대, 아주대 병원과 의정부성모병원의 경우 전원 환자의 100%가 응급 수술·처치 불가 또는 전문 응급의료 필요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중앙의료원(91.7%), 가천대길병원(83.3%), 목포한국병원(50.0%), 제주한라병원(50.0%)의 경우도 절반을 넘었다.

권역외상센터란 응급실에서의 처치 범위를 넘어서는 중증 외상환자가 병원 도착 즉시 응급 수술 및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시설·장비·인력을 갖춘 외상전용 치료센터를 말한다. 현재 전국 각지에 17개 권역외상센터가 지정돼 있다.

이들 병원은 24시간 365일 중증 외상환자의 응급 수술 및 치료를 전담하는 전담 전문의가 있어야 한다. 정부는 외상진료, 권역외상센터 설치·운영, 전담 전문의 충원을 위해 각종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 권역외상센터 운영지원 예산은 556억3200만원이다.

하지만 지난 2월 전공의 이탈 이후 권역외상센터는 초기 응급처치부터 최종 진료까지 모두 전문의들이 담당하고 이들이 당직까지 전담하면서 한계에 다다른 상황이다.

수도권 소재 대학병원의 한 응급의학과 교수는 “전공의가 없다 보니 권역외상센터나 권역응급센터의 전문의들이 당직을 모두 담당하면서 다들 지쳐 있는 상태”라면서 “사람이 부족해 일을 줄일 수밖에 없고, 환자를 입원시키기 힘든 경우가 이전보다 많이 생기고 있다”고 전했다.

박 의원은 “정부가 권역외상센터를 늘리고 있지만, 양적 확대뿐 아니라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원인도 면밀히 파악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