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어린이는 다 다르다.(…)하지만 대개 어른은 어린이에게서 ‘보편의 어린이’를 찾으려 한다. 어린이들에게서 각자 다른 점을 보려 하기보다는 어른을 기준으로 해서 어른과 대비되는 어린이들만의 공통된 특성을 찾고 기뻐한다.”

<구체적인 어린이>(민음사) 중에서

유은실 작가가 쓴 유년동화 시리즈의 제목은 다소 반항적이다. <나도 편식할 거야> <나도 예민할 거야> <나는 망설일 거야> 등이다. 주인공 정이는 허약하고 반찬 투정하는 오빠에게만 엄마가 장조림을 주는 걸 보고 ‘나도 이제 편식할 거야’라고 생각한다. 정이는 엄마가 ‘아무거나 잘 먹는’ 자신에게는 장조림을 주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에 울음을 터뜨린다.

아동문학 평론가인 김유진 작가는 <구체적인 어린이>에서 이처럼 우리가 잘 몰랐던 어린이의 모습을 소개한다. 그는 “아동문학에서 만나는 어린이가 늘 같다면 그건 가짜 어린이일 수 있”다고 말한다. “모든 어린이는 다 다르다”며, 심지어 “한 어린이에게도 다양한 특성과 마음이 있다”고 강조한다.

작가는 어린이를 ‘어린이다움’이라는 보편성으로 묶어서 보는 일을 경계해야 한다고 말한다. “한 명의 어린이를 바라보기보다 ‘어린이다움’을 먼저 찾으려 하고 그걸 두고 손뼉 치면서 혹시 세상에 찌든 어른 자신의 마음을 위무하고 싶은 건 아닌지 되돌아보자.”

금요일의 문장 구독 구독중
  • “그는 가질 뻔했던 것이 사라졌단 사실을 알았다”

  • “한국 사회는 개인주의자를 가만히 보지 못한다”

  • “도서관에 잘 읽히는 베스트셀러만 두라고?”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