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모듈원자로(SMR) 시장이 앞으로 천문학적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면서 전국 지자체 사이의 유치전이 가열되고 있다. 사진은 SRM 설비가 설치된 발전소 조감도. [연합뉴스]

전국 지자체가 개발도 되지 않은 소형모듈원자로(SMR) 유치전에 나섰다. SMR 시장이 앞으로 천문학적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면서다. 특히 최근 정부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에 SMR 1기를 신규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포함하면서 지자체 간 ‘SMR 거점’이 되기 위한 경쟁은 더욱 가열되고 있다.

SMR은 한 용기에 원자로를 비롯해 주요 설비를 일체화한 설비다. 작고(Small), 공장에서 부품을 생산해 현장에서 조립(Modular)해 건설할 수 있는 300㎿ 이하급 원자로(Reactor)다. 기존 대형원자로 주요 기기와 냉각시스템을 한 용기에 넣어 제작한다. 대형 원전보다 건설 기간이 짧고 비용도 절약되며 수요지 인근에 건설할 수 있다.

지난달 31일 전력수급기본계획 총괄위원회가 발표한 제11차 전기본에는 대형 원전 3기와 SMR 1기를 짓는 내용이 담겼다. SMR 도입 계획이 전기본에 들어간 것은 처음이다. 2034∼2035년에 걸쳐 모듈별로 건설을 마치고 운영을 개시한다는 계획이다.

제11차 전기본 발표 후 가장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곳은 대구시다. 대구시는 이달 중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과 군위첨단산업단지에 SMR을 건설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할 전망이다. 대구시는 SMR 건설을 통해 2029년 개항 예정인 대구통합신공항과 군위첨단산단 운영에 필요한 전기 상당 부분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존 원전 대비 SMR 장점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한국원자력연구원·한국수력원자력]

다만 한수원은 아직 SMR 입주와 관련해 정해진 것은 없다는 태도다. 한수원은 지난 5일 “SMR 건설 추진을 위해서는 부지 적합성, 환경영향, 냉각수 공급 방안 등 여러 가지 요건을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며 “현재 개발 중인 SMR 건립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대구시와 협력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했다.

국내 SMR 시장에서 가장 앞선 지자체는 경북 경주시다. 경주시는 지난해 3월 SMR 국가산단 최종 후보지로 확정됐다. 2030년까지 경주 문무대왕면 일원에 150만㎡ 규모의 SMR 국가산단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경주시 분석에 따르면 SMR 국가산단을 통해 유발되는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7300억원, 부가가치유발 효과 3410억원, 취업유발효과 5399명에 달한다.

경남도와 창원시도 SMR 시장에 뛰어들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4월 경남도와 창원시를 SMR 로봇활용 제작지원센터 구축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 이는 SMR 상용화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기술 확보가 어려운 중소·중견 원전업체의 첨단 제조공정 기술 도입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처럼 각 지자체가 일찌감치 SMR 시장에 뛰어든 건 무궁무진한 잠재력 때문이다. 세계원자력협회는 지난해 8조5000억원 규모였던 SMR 시장이 2035년 64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문제는 실현 가능성이다. SMR 개발에서 가장 앞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미국도 상용화에 성공한 기업이 없다. 그만큼 기존 원전을 대체할 수 있을 만큼 시장성과 안정성을 갖춘 SMR 개발이 어렵다는 뜻이다. 반대로 전 세계에서 아직 SMR 상용화에 성공한 국가가 없어 시장 점유 가능성도 열려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정범진 한국원자력학회장은 “지금 SMR 시장의 상황은 춘추전국시대와 같다. 전 세계 90개 SMR 개발 업체가 서로 경쟁하고 있고 그 중 어느 곳이 이길지 모른다”며 “지금 필요한 것은 한 번도 가보지 않은 길을 걷기 위한 리더십과 국민 지원”이라고 했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