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아이를 낳는 연령이 산모와 출생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게티이미지


첫 아이를 낳는 여성의 나이가 30대 초반 무렵일 때 산모와 출생아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이 가장 낮은 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산모 나이가 35세 이상이면 연령이 높아질수록 위험도가 높아졌으며, 반대로 24세 이하일 때에도 출생아에게 일부 질환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오수영·성지희 교수, 임상역학연구센터 조주희·강단비 교수 연구팀은 초산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출생아와 산모의 건강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영향을 분석한 연구를 ‘대한산부인과학회지’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2005~2019년 15년간 첫 아이를 낳은 여성 368만5817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토대로 추적 관찰했다.

연구에선 첫 아이를 낳은 산모의 나이에 따라 24세 이하(15만 818명), 25~29세(84만5355명), 30~34세(173만8299명), 35~39세(78만7530명), 40~44세(15만1519명), 45세 이상(9296명) 등 6개 그룹으로 나눴다. 과거에 비해 시간이 지날수록 초산을 경험하는 나이는 갈수록 높아져 고위험 임신의 기준이 되는 35세 이상 초산모의 비율은 2005년 18.2%에서 2019년에는 38.4%로 2배 이상 많아졌다.

대체로 첫 아이를 낳는 시기가 늦어질수록 임신합병증 등 산모의 건강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비율이 높아졌다. 임신성 고혈압 발생률은 24세 이하에선 2.5%였으나 45세 이상에선 10.2%로 4배 높았다. 제왕절개 수술률도 24세 이하 29.5%에 비해 45세 이상에서는 74%로 큰 차이를 보였다. 다만 조산을 비롯해 출생아에게 생길 수 있는 다양한 건강상의 위험은 가장 젊은 24세 이하 그룹에서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연령에 따른 위험도 그래프는 ‘U자형’ 곡선 형태를 그렸다.

25~29세 그룹을 기준으로 비교할 때 조산의 상대 위험도는 24세 이하가 16%, 30~34세 7%, 35~39세 26%, 40~44세 55%, 45세 이상 85% 더 높았다. 조산의 주요 원인인 다태임신(쌍둥이)의 영향을 보정했음에도 연령에 따른 차이가 컸다. 출생아에게 자폐가 나타날 위험도 역시 24세 이하는 18%, 40~44세 29%, 45세 이상 50% 더 높았다. 뇌성마비 발생 위험 역시 24세 이하는 19%, 40~44세 29%, 45세 이상 54% 더 높게 나타났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와 인지발달지연은 24세 이하에서 위험도가 각각 37%, 43% 더 높게 나타나 전체 연령그룹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25~29세와 30~34세 그룹은 대부분의 질환 위험도가 가장 낮은 편이었다.

이같은 결과를 종합해 연구진은 첫 번째 출산의 최적 연령을 30대 초반으로 꼽았다. 다만 출생아 아버지의 연령에 따른 영향은 분석할 수 없었으며, 초산 외 두 번째 이상의 임신일 경우에는 위험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염두하라고 주문했다. 오수영 교수는 “산모의 나이뿐 아니라 출생아 아버지의 나이도 출생아의 장기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이미 해외 연구들에선 잘 알려져 있다”고 밝혔다. 성지희 교수는 “고령 산모라도 두 번째 이상의 임신(경산부)은 저위험 임신이 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초산출산임신고령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