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서울 헌혈의 집 홍대센터 앞에 헌혈 참여 독려 문구가 적혀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사태 당시 정부가 혈액수급 안정화를 위해 추진했던 각종 정책들이 유명무실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수급 위기가 다시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혈액 부족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신설된 국가헌혈추진협의회는 지난 2년간 서면회의만 이뤄졌다. 2021년에 출범한 협의회는 1차 회의 당시 참석자 10명 중 6명의 위원들이 대리로 참석했고, 2022~2023년은 서면회의만 열리는 등 부실 운영됐다.

코로나19 사태 당시 헌혈이 급감하면서 2020년 한 해에만 혈액보유 주의 경보가 13차례 발령되는 등 혈액수급에 차질이 발생했다. 정부는 혈액수급 안정화를 위해 2021년부터 국가헌혈추진협의회를 복지부장관 소속으로 운영하기 시작했다. 혈액 수급 안정화 대책과 헌혈자 예우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복지부, 국무조정실, 기획재정부, 교육부, 국방부, 행정안전부 등이 대상위원으로 참여하는 협의회다.

시도별 헌혈추진협의회 역시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었다. 시도별 헌혈추진협의회는 2023년 기준 대구와 경기도를 제외하고 모두 구성돼 있었으나 회의 개최율은 50%에도 미치지 못했다. 사실상 운영되지 않는 곳들이 절반 수준에 달한다.

대한적십자사가 제출한 ‘혈액 수급 위기단계별 보유일수 현황’을 살펴보면 대구의 경우 2021년 한 해 동안 혈액수급 위기단계 중 주의·경계단계 일수가 75일, 경기도의 경우 212일에 달했다. 코로나19 발생 시기 혈액수급 위기단계 일수가 높게 나타났는데도 헌혈추진협의회가 구성되지 않은 것이다.

‘헌혈 예약 콜센터’와 ‘픽업서비스’와 같이 기존 제도도 사용실적이 급감하는 등 부실 운영됐다. 헌혈 예약 콜센터의 경우 2020년 이용 건수가 9만7561건이었으나 2023년 2만7117건으로 72% 감소했다. 픽업 서비스의 경우 2019년 5505명에서 2023년 116명으로 98%가량 대폭 감소했다. 2020년 기준 전국 혈액원 15곳 중 13곳에서 운영하던 픽업서비스는 5곳으로 줄어들었다.

서미화 의원은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이후 윤석열 정부의 안일함은 코로나19 장기화와 오미크론 확산세로 어려움을 겪었던 혈액수급 문제에서도 발생하고 있다”면서 “엔데믹 전환이 감염병 사태의 종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만큼 정부는 국민적 불안을 해소하고 건강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대응체계를 고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