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피스 제공

국제사회가 합의한 ‘30×30 목표’(2030년까지 전 지구 육지와 해안, 해양의 30%를 보호구역으로 정해 관리) 기한이 6년 남았지만, 현재 속도대로라면 83년 뒤인 2107년에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환경단체 전망이 나왔다.

그린피스는 21일 콜롬비아에서 열리는 제16차 유엔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당사국총회(COP16)를 맞아 ‘약속에서 실천으로: 글로벌 해양조약을 통한 30x30 목표 달성’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서 그린피스는 보호구역 지정 속도가 느려 2107년이 되어야 ‘30×30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30×30 목표’는 지난 2022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COP15에서 결정됐다. 2030년까지 육상, 하천·호소·저수지 등 내수, 해안, 해양의 최소 3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해 보존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계획이다. 생물다양성이 높아 보전 가치가 높은 지역의 손실을 2030년까지 ‘0’에 가깝게 만들자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번 COP16에선 2년간의 진전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논의한다.

1992년 ‘리우 선언’ 이후 32년간 해양 보호구역으로 정해져 보호되고 있는 곳은 전 세계 해양의 8.4%에 불과하다. 목표치인 30%를 달성하려면 2030년까지 남은 6년 동안 매년 프랑스 면적의 23.5배(한국 면적의 약 130배, 1299만 6000㎢)의 보호구역을 지정해야 한다고 그린피스는 분석했다. 그린피스는 “현재 세계 해양의 2.7%만 고도로 보호되고 있고, 공해는 0.9%만 보호되고 있다”며 “각국 영해를 넘어 공해 보호를 위한 글로벌 해양조약 비준과 국제사회 협력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린피스는 앞서 발표한 ‘더 뜨거워진 바다: 글로벌 해양조약이 기후 행동을 강화하는 방법’ 보고서에서 기후변화로 최근 5년간 해양 산소 함량이 1970년대 대비 1∼2% 감소했고, 지난 7월까지 전 세계 산호의 73%가 백화 현상을 겪을 정도로 열에 노출된 상태라고 지적했다. 해수면은 1900년 이후 21㎝ 상승했으며 극단적인 해수면 상승이 20~30배 더 빈번하게 발생해 약 10억명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 내다봤다.

메간 렌들스 그린피스 정책 전문위원은 “건강한 바다는 기후 변화와 각종 위협으로부터 생물 다양성을 보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서 “‘30x30’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글로벌 해양조약 발효”라고 말했다. 이어 “이를 위해 각국 정부는 조약 비준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